CHANeTAX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CHANeTAX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7)
    • 부가가치세 (38)
    • 종합소득세 (37)
    • 법인세 (19)
    • 4대보험 (10)
    • 기타 세법 (23)
    • 원천세 (26)

검색 레이어

CHANeTAX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증여세

  • 증여세율

    2024.11.06 by CHANeTAX

  • 연부연납

    2024.10.24 by CHANeTAX

  • 증여세신고시필요한서류 요약본!

    2024.10.18 by CHANeTAX

  • 증여세면제한도액

    2024.10.14 by CHANeTAX

  • 증여세 공제 총 정리!증여재산공제 관하여

    2024.10.14 by CHANeTAX

증여세율

증여세율증여세 세율 적용 방식 및 공제 금액 안내 안녕하세요, 다. 이번 글에서는 증여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 드리고자 합니다. 우선 가장 많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부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1.증여세란 무엇인가? 타인으로부터 재산을 무상으로 받은 경우 그 재산가액을 기준으로 하여 부과하는 세금이며 상속세와 함께 부의 무상이전 시 발생하는 세금이라고 할 수 있습니다. 과세 대상 자산에는 부동산이나 현금 뿐만 아니라 주식, 채권 등도 포함됩니다. 2.증여세율  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1억원이하10%없음5억원이하20%1천만원10억원이하30%6천만원30억원이하40%1억 6천만원30억초과50%4억 6천만원 3.신고 기한 꼭 지키세요! 증여일을 기준으로 하며 납세의무 성립일로부터 3개월 이내 신고 납부 하셔야 합니다. ..

기타 세법 2024. 11. 6. 18:20

연부연납

연부연납세금, 나누어서 낼 수 있는 연부연납 제도 알아보기 최근 경제활동 인구 중 세금에 대해 관심을 보이는 사람들이 많다. 특히 부동산 등 자산 가격 상승하면서 증여세와 상속세 부담도 커지게 되어 분할 납부 방법들을 찾게 된다. 이런 상황에서 활용 가능한 것이 '연부연납'이다. 오늘은 이 용어가 무엇인지 그리고 어떻게 신청하는지 자세히 알아보자. 우선 연부연납이란 간단히 말해 상속이나 증여받은 재산 또는 현금 외 유가증권 가액 기준 1천만 원 초과 시 분납할 수 있도록 하는 세제 혜택이라 할 수 있다. 다만 일정 요건 충족해야 하는데 우선 첫 번째로 관할 세무서장에게 허가받아야 한다. 이때 담보 제공 필수다. 즉 납세 보증보험 증권 제출하거나 주택 같은 부동산 근저당권 설정하면 된다. 그리고 기간 제한..

기타 세법 2024. 10. 24. 10:17

증여세신고시필요한서류 요약본!

증여세신고시필요한서류 요약본!증여세 신고 시 필요한 서류와 유의 사항들 정리하기 자녀나 가족에게 재산을 증여할 때, 수증자(재산을 받는 사람)는 일정 기간 내에 관할 세무서에 증여세 납부 및 신고를 해야 합니다. 이때 반드시 제출해야 할 서류가 있는데 이 중 필수적이고 기본적인 것들을 먼저 알려 드리겠습니다. 1.증여세 과세표준 신고서 : 가장 중요한 문서로 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국세청이나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후 직접 작성하거나 세무사 등 전문가 도움을 받아 작성하여 내야 합니다. 2.증여재산 및 평가 명세서: 부동산 같은 경우 시가 확인이 어려울 때  기준시가 혹은 공시지가로 계산한다는 사실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. 만약 현금 외 물건이라면 그 수량 단가 취득일 소재지를 기재하셔..

기타 세법 2024. 10. 18. 21:51

증여세면제한도액

증여세면제한도액 [증여세 면제 한도] 일정 금액 이하로 증여할 경우 세금 없이 가능! 최근 부동산 가격 상승에 따라 자녀에게 재산을 물려주는 것에 대한 관심이 증가했습니다. 이때, 반드시 고려해야 하는 부분 중 하나가 바로 '증여세'입니다. 이번 포스팅에서는 증여세 면제 한도와 계산 방법 등에 대해 자세히 알아보도록 하겠습니다. 1.증여세란? 타인으로부터 재산을 무상으로 받은 사람이 납부하여야 하는 세금 을 말합니다. 이는 상속과는 다르게 생전에 이루어진다는 점에서 차이가 있습니다. 납세 의무자는 수증자이며, 증여자는 연대납세의무를 지게 됩니다. 2.증여세 면제 한도(배우자 및 직계존속) 직계존속이란 본인을 기준으로 부모님, 조부모님 등 위의 세대로부터 재산을 받는 경우에는 5천만원까지 증여세 공제 대상..

기타 세법 2024. 10. 14. 16:13

증여세 공제 총 정리!증여재산공제 관하여

증여재산공제 총 정리! 증여세와 공제에 대해 알려드릴게요. 요즘 세금 신고철이라 증여세 상담 문의가 많이 들어오는데, 기본적인 사항들을 모르고 계신 분들이 많은 것 같아 한번 정리해 보려고 합니다. 그 중에서도 가장 중요한 부분이라고 할 수 있는 '증여재산공제'에 대해서 알아보겠습니다. 1.'증여란?' 우선 ‘증여’라는 개념부터 설명드리겠습니다. 이는 타인으로부터 재산을 무상으로 받는 것을 말합니다. 쉽게 말해 부모님께 용돈을 받거나 결혼할 때 집을 물려받는 등의 행위 모두 해당됩니다. 다만, 사회통념상 인정되는 범위 내의 생활비나 교육비 등은 제외됩니다. 2.'증여자와 수증자' 이때 증여자는 재산을 주는 사람이고, 수증자는 받는 사람인데요. 부부간 또는 직계존속 및 비속 간에는 10년간 합산하여 일정 ..

기타 세법 2024. 10. 14. 14:35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CHANeTAX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